본문 바로가기
애드젯(ADget), 광고사이트 에드젯은 더 이상 안전하지 않다!! 대부분의 블로그들이 애드젯 광고위젯을 달고 있지만, 더이상 애드젯은 사용하기 어려울것으로 보인다. 나도 이전에 애드젯 광고위젯을 많이 설치했었지만 현재는 다 제외한 상태다. 이유는 예전에도 포스팅했듯이 광고위젯의 서버를 통해 악성파일이 유포되기 때문이다. 아래의 공지는 2012년 3월 16일에 애드젯 홈페이지에 공지 된 내용이다. 내용을 살펴보면 "지난 해 12월말부터 악성코드 관련하여 서버의 전면 재설치가 되었다" 라고 이야기하고 있으며, 구글 세이프 브라우징 차단에 대해서도 조사하였고, 현재는 안전하다라고 설명하고 있다. 하지만, 현실은 달랐다. 가장 짧은 예로 바로 저번주 주말(2012년 4월 1일)에 광고위젯을 통해 악성파일이 유포되었기 때문이다. 악성파일에 대한 내용은 집에가서 자세하게 쓰도록 .. 2012. 4. 2.
MIDI 파일 취약점(CVE-2012-0003)을 이용한 악성코드 유포 주의!! 2012년 1월 27일 트렌드 마이크로(Trend Micro) 블로그를 통해 MIDI 취약점을 이용한 악성파일이 발견되었다는 소식을 들었다. 이에 보안업체 및 보안블로그에는 아래와 같은 분석내용들이 올라오고 있다. (내용은 다들 비슷하나^^ 그래도 한번씩 보는것도 도움이 될 것이다. 특히, 벌새님의 블로그는 치료방법에 대해서도 자세하게 나와있으니 참고하면 쉽게 치료할 수 있다.) [트렌드 마이크로] Malware Leveraging MIDI Remote Code Execution Vulnerability Found [nProtect] [주의]MIDI 파일 취약점을 이용한 악성파일 등장 [AhnLab] MS12-004 윈도우 미디어 취약점을 악용한 악성코드 유포 [울지않는벌새] MIDI 취약점을 이용한 정.. 2012. 1. 28.
애드젯(ADget), 광고위젯을 통한 악성코드 유포 주의!! 예전에 애드젯의 광고위젯을 통해 악성코드가 유포 된 적이 있었다. 애드젯(ADget), 광고위젯을 통한 악성코드 유포 공지 이 당시에는 특정 배너를 불러오는 URL에 악성스크립트가 포함되어 있었지만, 이번에는 조금 틀린 방법을 사용한듯 하다. (내가 웹취약점 전문가가 아니기 때문에 어떤식으로 삽입했는지는 모른다) 아래의 그림은 예전에 유포했었던 파일이 코드내용이다. 빨간색 박스내용처럼 난독화 된 코드가 있어서 자동으로 악성 URL로 넘어가게 됬었다. 하지만, 이번 유포를 보게되면 아래와 같다. 코드가 없다;; 정상적인 내용만 존재한다. 그럼 이 페이지는 정상인건가? 정말 그럴까?? 기대도 안했지만 역시나~ 절대 그렇지 않았다!! 위의 그림에서 마지막에 있는 iframe을 태그를 통해 pub, w, h, .. 2012. 1. 7.
애드젯(ADget), 광고위젯을 통한 악성코드 유포 공지 국내 웹사이트는 금요일 오후 6시부터 비상경계다. 아는사람들은 다 알겠지만, 6시이후부터 사이트변조가 시작된다. 그 이유는 변조 된 사이트를 통해 악성파일들을 유포시키기 위해서다. 하지만 최근에 들어서 방법이 조금씩 바뀌어지고 있다. 예전에는 사람들의 많이 찾는 게시판 및 홈페이지에 악성스크립트를 삽입하여 방문하는 이용자에게 악성파일을 다운로드 시키는 방식이였다. 하지만 이 방식은 사이트 관리자가 지켜보고 있다가 수정하거나 조치가 빠르게 이루어지자, 악성파일 제작자들은 홈페이지에서 블로그로 그 방식을 수정하였다. 블로그라고 해서 악성파일 제작자가 블로그 접속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수집하여 접속하는 방식이 아니다!! 요즘 블로그에 설치되는 광고위젯의 서버를 탈취함으로써 해당 광고위젯을 설치하는 모든 블로그들.. 2011. 8. 9.